티스토리 뷰
고통스럽게 무조건 돈을 쓰지 말고 절약하라는 게 아니라 생각없이 새는 돈을 막으라는 겁니다.
1년 동안 나는 얼마를 쓰는 사람인지 계산해 보세요.
이렇게 하고 나면 한 달 생활비를 스스로 정할 수 있게 되고 정해진 생활비를 제외하고 남은 수입은 추후 재테크를 위한 투자대기자금으로 강제 저축합니다.
셋째, 금융상품 분석
내가 가입한 금융상품들을 적어 봅니다.
대출이 있다면 대출 만기일과 매월 상환금액을 적고 그 중 고금리 등 심각한 대출이 있다면 대출상환 플랜을 먼저 짜야 합니다.
만약 대출금을 어떻게 갚아야 할지 모르겠다
너무 막막하다 금리도 너무 높고... 그런 고민이 있다면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에 복지상담센터(혹은 복지지원센터)가 있는데 국가가 나에게 상담을 해줍니다.
나의 대출상환 계획을 짜주는 거죠.
중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방법 등 재테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상담을 다 해줍니다.
괜히 대출 브로커들한테 굽신 거릴 필요가 없어요. 세금 냈잖아요
이런 혜택 다 받으셔야죠
적금이 있다면 만기일과 세후 실수령액을 적고 펀드나 선물 옵션 등 공격적인 투자 상품을 현재 하고 있다면 현재의 평가금액과 수익 or 손실 금액을 십원 단위까지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재합니다.
가입한 보험 상품도 적어 보구요.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면 주식 종목을 다 적고 초기 투입 투자금액 대비 얼마의 수익 혹은 얼마의 손실이 있었는지 기록합니다.
그래서 내가 가입한 금융상품들이 1년 동안 나에게 얼마를 벌어주고 있는지 계산해 보세요.
넷째, 거절멘트 준비
이렇게 해서 어느 정도 돈을 모으고 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지인이 돈을 빌려달라고 연락이 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평소에 거절 멘트를 연습해야 해요.
우물쭈물하다가 마음이 약해져서 돈을 빌려주게 되면. 그 다음 어떻게 되는지 아시죠
빌려줄 때는 서서 빌려주고 받을 때는 엎드려 절하면서 받아야 하고 그나마 받으면 다행이고 못 받게 되면 인간관계 끊어지고 민사소송 해야 됩니다
그래서 돈을 모으는 과정에서는 거절멘트를 준비해 놓아야 합니다.
이렇게 매월 , 매년 나의 자산을 분석해서 노트에 기재하면 내가 1년에 얼마를 벌고 얼마를 쓰는 사람이구나.
그래서 1년이면 얼마 정도를 모을 수 있겠구나.
어림치가 아닌 정확한 계산이 나올 거예요.
마지막으로 내 돈이 크는 동안 나도 클 준비를 하고 실제로 커야 됩니다.
돈 한테만 크라고 하지 말고 나도 같이 성장해야 해요.
자 , 여기까지 잘 따라 왔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단계에 온 거예요.
지금 당장 돈 관리를 시작하라
재테크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돈 관리 일명 "통장 쪼개기"
재테크에 대해 조금만 검색해 봐도 '통장 쪼개기' 혹은 '통장 나누기' 에 대해 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
돈 관리에 대한 꿀팁 등 각양각색의 방법들이 이미 많이 공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 부자엄마가 선택한 공식은 "통장 3개로 쪼개기" 입니다.
간단하게 통장 3개만 있으면 됩니다.
1. 급여통장
- 청약저축, 적금, 보험료 등 자동이체
- 매달 생활비를 2번 통장으로 이체
2. 생활비통장
- 매달 정해진 생활비만 사용
- 체크카드 연결, 신용카드는 no
3. 투자자금대기통장
- 생활비 이체 후 남은 금액 저축.
- CMA 계좌로.
통장 쪼개기의 핵심은 돈이 많아서 나누는 것이 아니라
목적에 따라 예산을 짜고 계획있게 소비하기 위함입니다.
물런, 이렇게 한다고 해서 갑자기 부자가 되는 건 아니예요.
다만, 매달 생각없이 지출하던 비용은 줄일 수 있게 되죠.
3번 통장은 향후 투자를 위해 항상 현금이 대기하고 있는 통장인데요
얘가 대기하고 있는 동안 놀면 되겠어요
얘가 일을 해야지 그래서 증권사 CMA 나 MMF 같이 매일매일 이자를 찍어주는 통장을 활용하세요
이렇게 통장을 쪼개는 것까지 마치면 이제 투자를 시작할 준비가 되신 거예요
시작하지 않으면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크림 (0) | 2023.05.01 |
---|---|
약국에서 사세요 (0) | 2023.05.01 |
밀가루가 들어가 있지 않은 과자 (0) | 2023.04.27 |
바람을 피지 않는 남자... (0) | 2023.04.26 |
집 볼때 층간소음.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