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6가지 맛

2052 2024. 2. 27. 11:18
728x90
반응형
6가지 맛에 숨어있는 놀라운 건강비밀
“여섯 가지 맛이 우리 몸 속의 오장육부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알게 되면
그 신비로움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된다.”며
“그 신비는 철학적이며 우주적이며
과학 이상의 기막힌 세계가 숨어 있다.”
명의 고태홍박사의 말이다.
그런 그가 밝히는
6가지 맛에 얽힌 건강비밀,
도대체 뭐길래?
아래 6가지 미각의 비밀을 알게 되면
더욱 더 건강한 삶을 누리게 될 것이다.
1. 소화기를 관장하는 단맛.
달달한 단맛은 기본적으로
소화기를 관장하는 맛이다.
위와 췌장의 기능을 좋게 하는 맛으로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단맛이 부족할 경우
비, 위장과 관련된 질병이 잘 생긴다.
또 전두통, 무릎 전방부 신경통도 잘 생기고,
아래 잇몸, 유방, 입술 등에도 질병이
생길 수 있다.
입술이 부르텄을 때
단맛을 먹으면 낫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단맛을 너무 많이 먹어도 좋지 않다.
동양철학에서 말하는 오행론으로 볼 때
단맛은 짠맛을 중화시키는 맛이기 때문이다.
멀리 갈 것도 없다. 음식이 짜게 되면 설탕을 넣는다.
그러면 짠맛이 덜해진다.
단맛이 짠맛을 중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맛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짠맛이 부족했을 때 생기는 병의 역습을
받을 수 있다. 신장, 방광, 골수, 뼈에
병이 들게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여기서도 똑같이!
단맛 또한 부족하지도 않게,
그렇다고 넘치지도 않게 섭취하는 것,
꼭 기억하자.
Tip 단맛 나는 식품 총정리.
● 곡식-기장, 백미.
● 과일-참외, 호박, 대추, 감.
● 채소-고구마줄기, 미나리, 시금치.
● 육류-쇠고기, 토끼고기, 동물의 위장, 비장, 췌장.
● 조미료-엿기름, 꿀, 설탕, 잼, 엿, 포도당.
● 근과류-고구마, 칡뿌리, 연근, 인삼, 감초.
● 차류-인삼차, 칡차, 구기자차, 식혜, 대추차, 꿀.
2. 심혈관에 좋은 쓴맛.
씁쓸한 쓴맛은 심혈관계 질환을 조절하고
다스리는 맛이다. 따라서 쓴맛이 부족하면
심장, 순환기, 소장 등에 질병이 생기기 쉽다.
또 날개뼈, 팔, 주관절, 새끼손가락 신경통,
이명 등의 증상과도 연관이 깊다.
따라서 평소 심혈관질환이 걱정된다면
쓴맛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과잉으로 섭취하라는 말은 아니다.
쓴맛은 동양철학에서 말하는 오행론으로 볼 때
매운맛을 중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쓴맛을 많이 먹으면
매운맛의 부족을 초래해 매운맛이 부족할 때
잘 생기는 호흡기질환이나 피부질환이 생길 수 있다.
Tip 쓴맛 나는 식품 총정리.
● 곡식-수수.
● 과일-살구, 은행, 자몽, 해바라기씨.
● 채소-풋고추, 근대, 상추, 쑥갓, 씀바귀, 셀러리,쑥, 고들빼기, 취나물,
각종 산나물, 익모초.
● 육류-염소, 칠면조, 곱창, 피.
● 조미료-술, 자장, 면실유.
● 근과류-더덕, 도라지.
● 차류-홍차, 작설차, 커피, 초콜릿, 영지차, 쑥차.
3. 폐•호흡기 다스리는 매운맛.
눈물을 쏙 빼는 매운맛은
폐, 호흡기, 대장, 피부를 다스리는 맛이다.
따라서 매운맛이 부족하면 호흡기질환이
잘 생길 수 있다.
또 대장과 관련된 질환, 어깨 위 통증도
유발할 수 있다.
특이하게 1~2번째 손가락 신경통,
위 잇몸질환의 발생과도 연관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고 매운맛의 과잉 섭취도 좋지 않다.
동양철학에서 말하는 오행론으로 볼 때
매운맛은 신맛을 중화시키는 관계다.
따라서 매운맛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신맛이 부족할 때 생기는 질병을 부르게 된다.
주로 간, 담낭, 관절 주변의 질병이
많이 생긴다.
Tip 매운맛 나는 식품 총정리.
● 곡식-현미, 율무.
● 과일-배, 복숭아.
● 채소-파, 마늘, 달래, 양파, 배추.
● 육류-말고기, 생선, 조개류, 동물의 대장과 허파.
● 조미료-생강, 박하, 고추, 후추, 고추장, 겨자,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장년 생활  (0) 2024.03.06
몸에 좋은 간식과 과일  (0) 2024.03.05
꿀잠자게 하는 음식.  (0) 2024.02.26
폐암에 좋은 음식과 초기 증상 ...  (0) 2024.02.25
젊어지는 健康 習慣  (0) 202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