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첫만남 지원금 신청

2024년 출산혜택 총정리

온라인 접수

1. 임신 · 출산 진료비 바우처

2024년부터 태아당 100만원으로 증액된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지원대상: 임신 및 출산 건강보험 가입자

지원금액: 태아당 100만원

사용범위: 임신·출산 관련 진료비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시행시기: 20241월부터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2023년까지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이상 140만원

사용처 확대: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지정요양기관 폐지)

바우처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병원 또는 약국에서 진료 또는 약 구매

결제 전에 '바우처 사용' 요청

카드 결제

2. 첫만남이용권

2024년부터 둘째아 이상 300만원으로 증액된 첫만남이용권!

지원대상: 출생신고된 아동

지원금액:

202411일 이후 출생

1명당 200만원

2명당 300만원

20231231일 이전 출생

1명당 200만원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사용처: 유흥업소 및 사행업소 제외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

지원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까지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둘째아 이상 200만원 300만원

첫만남이용권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원하는 곳에서 물건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

카드 결제

3.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202411일부터 총급여액 기준 폐지! 누구나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202411일 이후 산후조리비용 지출

지원내용: 총급여액 기준 폐지, 누구나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

2024년 주요 변화:

총급여액 기준 폐지: 2023년까지 7,000만원 이하 소득자만 지원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신청 방법:

연말정산 시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에 신청

산후조리원 영수증

4.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2024년 신설된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직계존속으로부터 1억원까지 증여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자: 직계존속

증여한도: 1억원 (혼인공제, 출산공제 통합한도)

주의할 점:

혼인 전 증여 시 2년 이내 혼인해야 함

2년 이내 혼인하지 못하면 가산세 부과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활용 팁:

혼인 및 출산 시기 고려하여 증여 받는 것이 유리

증여 시 증여계약서 작성 필수

5. 부모급여

2024년 부모급여 지급액 인상! 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 지원됩니다

지원대상: 출산 후 1세 미만 영아 양육하는 부모

지급방식: 현금 또는 바우처 (보육료 또는 종일제 돌봄)

지원금액:

0: 100만원

1: 50만원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0: 70만원 100만원

1: 35만원 50만원

부모급여 신청 방법:

출산 후 180일 이내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6. 자녀장려금

2024년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소득 7,000만원 이하 가구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지원됩니다

대상: 소득 7,000만원 이하 가구

지급액: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1: 83만원

2: 78만원

3: 73만원

2024년 주요 변화:

소득 기준 상향: 4,000만원 7,000만원

지급액 인상: 자녀 1인당 최대 80만원 100만원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매년 6월 및 12월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