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출산혜택 총정리
1. 임신 · 출산 진료비 바우처
2024년부터 태아당 100만원으로 증액된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지원대상: 임신 및 출산 건강보험 가입자
지원금액: 태아당 100만원
사용범위: 임신·출산 관련 진료비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비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시행시기: 2024년 1월부터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2023년까지 단태아 100만원, 쌍둥이 이상 140만원
사용처 확대: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지정요양기관 폐지)
바우처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병원 또는 약국에서 진료 또는 약 구매
결제 전에 '바우처 사용' 요청
카드 결제
2. 첫만남이용권
2024년부터 둘째아 이상 300만원으로 증액된 첫만남이용권!
지원대상: 출생신고된 아동
지원금액: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
1명당 200만원
2명당 300만원
202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1명당 200만원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사용처: 유흥업소 및 사행업소 제외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
지원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까지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둘째아 이상 200만원 → 300만원
첫만남이용권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원하는 곳에서 물건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
카드 결제
3.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2024년 1월 1일부터 총급여액 기준 폐지! 누구나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2024년 1월 1일 이후 산후조리비용 지출
지원내용: 총급여액 기준 폐지, 누구나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
2024년 주요 변화:
총급여액 기준 폐지: 2023년까지 7,000만원 이하 소득자만 지원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신청 방법:
연말정산 시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에 신청
산후조리원 영수증
4.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2024년 신설된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직계존속으로부터 1억원까지 증여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자: 직계존속
증여한도: 1억원 (혼인공제, 출산공제 통합한도)
주의할 점:
혼인 전 증여 시 2년 이내 혼인해야 함
2년 이내 혼인하지 못하면 가산세 부과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제도 활용 팁:
혼인 및 출산 시기 고려하여 증여 받는 것이 유리
증여 시 증여계약서 작성 필수
5. 부모급여
2024년 부모급여 지급액 인상! 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 지원됩니다
지원대상: 출산 후 1세 미만 영아 양육하는 부모
지급방식: 현금 또는 바우처 (보육료 또는 종일제 돌봄)
지원금액:
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
2024년 주요 변화:
지원금액 인상:
0세: 월 70만원 → 100만원
1세: 월 35만원 → 50만원
부모급여 신청 방법:
출산 후 180일 이내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6. 자녀장려금
2024년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소득 7,000만원 이하 가구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지원됩니다
대상: 소득 7,000만원 이하 가구
지급액: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1세: 83만원
2세: 78만원
3세: 73만원
2024년 주요 변화:
소득 기준 상향: 4,000만원 → 7,000만원
지급액 인상: 자녀 1인당 최대 80만원 → 100만원
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매년 6월 및 12월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가정에 꼭 있어야 할것 (0) | 2024.03.28 |
---|---|
디딤돌 전세 자금 대출 조건 (0) | 2024.03.28 |
의료비 환급금 신청 (0) | 2024.03.28 |
나이 들수록 하지 말아야 할 자랑 (0) | 2024.03.28 |
덕을 쌓아 가는 인생 지침서...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