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에서 의항리 구간에 있는 해수욕장.
만리포해수욕장은 태안반도 서쪽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2.5㎞, 폭 약 270m의 북서방향으로 발달된 사빈이다.
태안에서 서쪽으로 12㎞ 지점에 위치한다. 대천해수욕장·변산해수욕장과 더불어 서해안의 3대해수욕장의 하나로 손꼽히며, 북쪽으로 이어져 있는 천리포해수욕장과 함께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명소를 이룬다.
만리포해수욕장은 바닷물이 비교적 맑고 모래질이 고우며 경사가 완만하여 수심이 얕은 데다 해변에 담수(淡水)가 솟아난다.
만리포 해빈은 모래유실로 인하여 호안이 건설되어 있으나 현재도 상당량의 해빈 퇴적물이 유실되고 있어서 인위적으로 모래를 공급해 주기도 한다. 표층퇴적물은 역질과 니질의 비율은 적으며, 대부분 사질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입도는 1/48Ø의 중사에 해당된다. 해빈의 배후에는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 식생으로 고착화되어 있지만, 우곡의 발달로 해체되어 원형만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고사구가 발견되기도 한다.
겨울철 강한 북서계절풍의 영향과 큰 조차에 의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철 만리포 해빈의 표층퇴적물 특성은 북쪽 해빈은 조립질을 나타내고, 방파제 뒤 남쪽 해빈은 세립질로 이질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퇴적물 이동경로는 육지 쪽 해빈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표층퇴적물이 호안 쪽으로 이동하고, 해안 쪽 해빈에서는 파랑과 조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표층퇴적물이 남서방향과 외해로 이동한다.
2007년 12월 7일 7시에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약 10㎞ 해상에서 크레인부선(삼성1호, 11,818톤)과 투묘중인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146,848톤/홍콩선적)가 접촉하여 원유 12,547kl가 해상에 유출되는 내 최대 해양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하였다.
만리포해수욕장은 최대 피해지역으로, 유출된 원유가 바다를 검게 뒤덮고 있었다.
해상에서는 방제선의 유화제 유포작업이 진행되었고, 해안가에서는 가장 많은 자원봉사 인원이 투입되어 오일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전국에서 모여든 100만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힘을 합쳐 아름답고 깨끗한 해변으로 거듭났다.
그러나 표면상으로 기름들은 사라진듯하지만, 모래사장 바닥이나 방파제, 갯벌 속에는 현재까지 기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해저와 수중에도 잔류기름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잔류물은 그 물질 자체의 위험성은 낮으나 생태계에 장기간 체류함으로써 복원을 저해하기도 한다.
백사장 뒤쪽으로 송림(松林)이 우거져 있어 주로 하계수련장으로 이용된다. 해수욕장까지의 교통도 편리하며 호텔·여관 등 숙박시설도 갖추어져 있어서 매년 많은 피서객이 찾는다.
만리포해수욕장 주변에는 천리포수목원이 유명한데, 이는 귀화한 미국인 갈 밀러 씨에 의해 1979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민간 수목원으로, 현재 약 15,000여 종류의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만리포해수욕장에는 해수욕장 전역을 관측하기 위해 해수욕장 북측에 철탑 형태의 모니터링 타워관측시스템을 설계하여 해빈관측용 비디오카메라 4대를 설치하여 연안침식 모니터링 을 실시하고 있다.
꽂지 해수욕장

백사장 면적은 96ha, 길이는 3.2㎞, 폭은 300m, 경사는 3도, 안정수면거리는 300m로, 승언리에서 서남쪽으로 약 4km쯤 떨어져 있는, 안면도에서 제일 큰 해수욕장이다.
넓은 백사장과 완만한 수심, 맑고 깨끗한 바닷물, 알맞은 수온과 울창한 소나무숲으로 이루어져 해마다 100만 명이 넘는 피서객들로 붐빈다.
1989년에 해수욕장으로 개장하였다.
물이 빠지면 갯바위가 드러나 조개·고둥·게·말미잘 등을 잡을 수 있다.
오른편에는 전국에서 낙조로 가장 유명한 할미바위와 할아비바위가 있어서 연중 사진작가들이 찾고 있다.
주변에 방포포구와 자연방파제인 내파수도·외파수도,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 관광명소가 있다.
2002년 안면도 국제꽃박람회가 이곳과 자연휴양림 일원에서 개최되었다.
충남 태안군 소원면 천리포1길 277-6지도

백사장 면적은 20ha, 길이는 1km, 폭은 200m, 안정수면거리는 150m로, 남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만리포해수욕장이 있고, 북쪽으로는 백리포(방주골) 해수욕장이 있다.
원래는 고기를 잡던 어막이 많아서 막동이라고 불리던 곳이나 1955년 만리포 해수욕장을 개장하면서 이곳에도 피서 인파가 몰려들어 천리포로 불리게 되었다.
개장일은 매년 7월 3일부터 8월 30일까지이다.
경사가 6˚로 완만하고 물이 깨끗하며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고, 패류와 해초를 직접 채취할 수 있다.
주변에 2개의 닭섬이 있는데 육지에 붙어 있는 산을 뭍닭섬, 바다에 떠 있는 섬을 섬닭섬이라 하며 자연적인 방파제 역할을 한다.
또한 미국인 밀러(한국이름은 민병갈)가 60ha 면적으로 일군 천리포수목원이 인근에 있다.
태안에서 천리포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충남 태안에 위치한 꾸지나무골해수욕장은 생소한 이름만큼 일반인에게 다소 낯선 곳으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작고 아담한 백사장과 푸른 소나무 숲이 어우러져 있으며, 백사장 양 끝에는 갯바위가 있어 바다 낚시터로 많이 이용된다.
고운 백사장과 멋진 송림, 그리고 양쪽에 갯바위가 있어 놀래미 낚시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이곳의 소나무 숲은 숲 그늘이 짙어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이 느껴질 정도이다. 아직 피서객의 발길이 많지 않은 곳이라 주변에 편의시설이 적다.
장화를 신고 목장갑을 끼고 광어와 우럭, 놀래미를 집는 재미가 일품이며 잡아온 물고기는 즉석에서 회를 떠주기도 한다.
백사장 길이 800m, 폭 250m로 태안 읍내에서 서쪽으로 약 20㎞ 떨어진 서해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다.
해변의 모래가 매우 곱고 바닷물이 깨끗하며 천연의 사구가 발달되어 있다.
또한 울창한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어 가족 단위의 피서객이 야영하기에 적합하다.
1970년대에는 군사 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에 해제되어 일반인의 출입이 가능해졌다.
현재 사유지로 해수욕장 이용시 성수기에는 1인당 일정 비용의 시설 이용료가 부가된다.
8월에 골뱅이를 잡을 수 있으며 조개를 캐거나 근처의 갯바위에서 낚시가 가능하고 장어잡이체험, 독살체험 등을 비정기적으로 다양한 체험 활동을 제공한다.
<찬란한 여명>, <용의 눈물>, <번지점프를 하다>, <여인천하> 등의 드라마와 영화 배경으로 촬영될 만큼 경치가 일품이며 저녁 노을이 유명하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