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이 지났어도 먹을 수 있는 6종류의 식품
주변 가정을 둘러보면, 예전에 비해 쓰레기를 줄이려는 분위기가 강하다.
재활용할 만한 건 골라내 물자를 절약하고, 꼭 버려야 할 것만 쓰레기통에 넣는다.
물론 쓰레기 줄이는 일이 쉽지 만은 않다.
특히 음식물의 경우, 요즘처럼 더운 시기엔 며칠만 방치해도 그대로 곰팡이가 슬고 썩기 마련이다.
결국, 음식 맛도 못 본 채 눈물을 머금고 쓰레기통에 버리는 일이 허다하게 벌어진다.
그런데 생각보다, 이런 식으로 멀쩡한 음식을 버리는 일도 잦다.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하기 전, 먹을 수 있는 게 있는지 이참에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자.
1 신선한 식품
냉장 보관하는 유제품은 유통기한이 지나도 대략 한 달까지는 먹을 수 있다.
특히 요거트는 3개월까지도 가능하다.
아쉽게도 육류(냉장육)는 그게 어렵다.
육포같이 말린 고기라면 유통기한 완료 후 2주까지 보관 및 소비가 가능하다.
2. 달걀
달걀을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면 (실온에 둔 달걀 대비) 유통기한이 대략 2주 정도 늘어난다.
달걀흰자가 핑크빛이나 녹색빛을 띠면 그땐 미련 없이 버려야 한다.
달걀을 깨보지 않고도 상한 여부를 알 수 있는 팁이 있다.
물이 든 컵에 달걀을 넣어봐서 가라앉으면 안심, 신선한 달걀이다.
달걀이 물 위로 떠오르면 그땐 쓰레기통으로 직행.저장
3 치즈
발효 및 숙성을 거쳐 제조되는 치즈는 살짝 녹색빛을 띠더라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여전히 입을 대기 꺼려진다면, 변색이 일어난 부분을 잘라내고 먹으면 된다.
믿기 어렵지만 숙성 치즈는 좀 오래 둔 게 오히려 더 낫다고 한다.
4. 꿀, 설탕, 소금
꿀, 설탕, 소금은 선반 위에 고이 모셔두고 자자손손 먹어도 된다.
유통기한이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게 맞다. 같은 원리로, 핫케이크에 끼얹는 메이플 시럽에도 유통기한이 없다.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걱정 없이 오래오래 먹을 수 있다.
5. 초콜릿, 쌀, 스파게티면, 렌틸콩
위의 식품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뒤에도 수년간 먹을 수 있다.
함유된 수분이 현저히 적어 곰팡이가 필 염려가 없다.
특히, 초콜릿은 유통기한이 지난 2년 뒤까지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6. 통조림 식품
형태에 변형이 왔거나 뚜껑을 따지 않은 이상, 내용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오래오래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통조림 식품은 전시 상황, 재난 대비 등에 적합하다.
단, 건강에 좋지만은 않으므로 평소엔 유리병에 든 식품이나 신선식품을 먹도록 하자.
여기까지, 유통기한에 대한 이런저런 팁을 알아보았다.
뭐니 뭐니 해도, 당신의 코와 직감을 믿는 게 최고다
코와 혀가 경고 사인을 보내온다면, 그땐 유통기한이 지난 여부에 관계없이 버리는 게 좋다.
특히 여름철엔 상한 음식을 조심해야 한다.
악취를 풍기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한 맛이 난다거나, 녹색 곰팡이가 보인다면, 망설이지 말고 버리자. 몸이 고생하기 전에 철저한 예방이 최선임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초기증상 예방 음식 (0) | 2023.11.28 |
---|---|
유통기한 넘기면 절대 안되는 음식들 (0) | 2023.11.27 |
세포 노화 원인 (0) | 2023.11.24 |
물 한잔 몸에 놀라운 변화 (0) | 2023.11.24 |
천연 변비약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