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돈복 지키는 쌀 보관법.

 

 

집안의 번영을 위해 쌀은 이렇게 보관하세요.

쌀은 동남서북 순서로 두어야 합니다.

우선 주방 동쪽에 서늘한 곳 열기가 생기지 않는 곳이 있다면 아주 좋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다음으로 남쪽을 보시고 또 다음으로 서쪽에 두십시오.

쌀 보관할 때 가장 좋지 못한 것이 바로 북쪽의 쌀을 두는 것입니다.

과거 고택들을 보면 쌀 창고는 무조건 집안에 동쪽이나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동쪽은 새로운 기운이 움트는 곳이라고 하여

쌀의 기운 즉 우리 몸에 가장 큰 에너지원인 쌀이 항상 생성되는 기운, 살아난 기운을 담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그러했던 것입니다.

또한 남쪽은 움직이고 활동하는 기운이라 이 쌀에 이러한 기운이 스며들어야 한다는 그 생각에서 그렇게 하였던 것입니다.

북쪽은 정체되고 또 머무는 기운이라고 하여 풍수에서는 쌀을 절대 이곳에 두면 안 된다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쌀을 절대 함부로 다루지 마세요.

쌀을 함부로 다루면 못 살게 된다는 것이 우리 전통의 사상이며

먹을 것을 버리는 것 특히 밥을 버리는 것은 절대로 안 된다는 것이 우리 풍수학에서의 아주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그래서 절에 스님들은 발우 공양이라고 하여 모든 음식들을 마지막까지 다 씻어서 먹는 식사법들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쌀은 풍수에서 재력과 번영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쌀을 보관, 관리하는 방법들이나 원칙들이 과거 수많은 서적들에서 다뤄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쌀 미(米) 자를 풀어서 해석을 하면 여덟 팔자와 열 십자 또 여덟 팔자의 한자라고 합니다.

이는 쌀 한 톨을 수확하기 위해서 농부는 88번의 수고로움을 거쳐야 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사랑과 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풍수에서는 쌀을 보관하는 방법에 관하여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풍수에서는 쌀이 잘못되면 가정에 불행이 찾아온다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