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라감영 역사테마파크’와 ‘전라관찰사의 탄생’은 조선시대 전라감영의 역사와 행정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역사 관광 콘텐츠입니다
아래에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전라감영 역사테마파크 개요
- 위치: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일대 (옛 전라감영터)
- 테마: 조선시대 ‘전라감영’의 복원과 전라관찰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역사공원
- 개장: 2021년 (전라감영 복원사업 완료 이후)
🔹 주요 구성
- 전라감영 복원 건물군
- 선화당(감사 집무실), 내아(가족 거주 공간), 내아행랑, 내삼문, 외삼문 등
- 실제 조선 후기 문헌 기록과 고지도에 따라 원형 복원
- 역사테마 체험공간
- 전라관찰사 체험 프로그램: 관찰사 의복 착용, 임명장 수여식, 조선시대 행정 의전 체험
- 전주부 윤음 반포 체험: 백성들에게 왕의 교서를 낭독하는 의식 재현
- 전통 의복‧군사 퍼포먼스: 감영 수문장 교대식 등
- 전시 및 교육관
- 전라감영의 행정 체계, 관찰사 일지, 전라도의 500년 역사 전시
-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관 운영 (AR‧VR 기술 적용)
전라관찰사의 탄생
- **전라관찰사(全羅觀察使)**는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을 총괄하던 최고 지방행정관입니다.
- 임명 기관: 조선 국왕
- 지위: 종2품 (감사라고도 불림)
- 관할 범위: 전주를 중심으로 한 전라도 56개 고을
🔹 주요 임무
구분역할
행정 | 각 고을 수령들의 행정 감독 및 인사 보고 |
사법 | 백성의 억울한 일 해결, 재판 관장 |
군사 | 전라도 군사 지휘권 보유 |
세무 | 조세 징수 및 진상 관리 |
왕명 전달 | 국왕의 교지 및 명령을 각 고을에 전달 |
🔹 역사적 의미
- 전라감영은 단순한 지방청이 아닌, ‘전라도의 수도’ 역할을 했습니다.
- 전라관찰사는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백성과 가장 가까운 ‘작은 왕’이라 불릴 정도의 권한을 가졌죠.
- 특히 조선 후기 정조 시대에는 개혁정책과 민생 안정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했습니다.
추천 관람 코스
- 전라감영 정문(외삼문) → 선화당 내부 관람
- 전라관찰사 임명식 체험 프로그램 참여
- 감영 거리 역사관 / 디지털 영상 체험관
- 풍남문 – 경기전 – 전동성당까지 역사도보코스 연계
교통안내
- 주소: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2
- 대중교통:
- 전주역 → 전라감영 (시내버스 약 15분, 전동성당 앞 하차)
- 주차: 감영 인근 공영주차장 및 전동성당 주차장 이용 가능
전라감영 역사테마파크, 전라관찰사의 탄생
1884년 전주, 전라감영을 뒤흔든 부패한 탐관오리와
그를 잡기 위해 파견된 암행어사!
혼란한 시대 속 정의를 바로세울
새로운 전라관찰사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부패와 음모가 뒤섞인 전라감영,
이제 당신이 감영의 위기를 구할 차례!
📅 일시
10.18.(토)~11.30.(일)
매주 금,토,일 12:30~17:30
📍 장소
전라감영
🎪 프로그램
- 단막극을 통해 밝혀지는 사건의 실마리
- 조선시대 직업 체험
- 내가 바로 전라관찰사!
🎤 참여안내
- 참가비: 무료
- 참여방법: 현장참여
☎️문의
문화예술공작소 063-232-9938
새로운 전북! 특별한 전북 찾기🎈
전북 여행체험 1번지 관광명소는
전북특별자치도 관광마케팅종합지원센터와 함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