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집에서 부모가 사망했을 때 장례 절차와 사후 처리법

부모님이 집에서 돌아가신 경우, 당황스럽고 슬픈 상황 속에서도 차분하게 절차를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장례 절차와 사후 처리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사망 확인 및 신고

① 사망 확인

  • 의사의 사망 진단서가 필요합니다.
  • 병원 외(자택 등)에서 사망했을 경우, 응급실이나 119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해 사망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자연사 여부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 부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② 사망진단서 or 사체검안서 발급

  • 병원 의사가 사망 진단서를 작성해 줍니다.
  • 변사 의심 시, 경찰 조사와 국과수 부검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2. 장례식 준비

① 장례식장 섭외

  • 가까운 병원 장례식장이나 민간 장례식장에 문의합니다.
  • 장례식장에 고인을 안치한 후 장례 절차가 진행됩니다.

② 장례 방식 결정

  • 장례일정(통상 3일장), 매장 vs 화장, 종교 유무 등에 따라 절차가 달라집니다.

③ 장례 대행 업체 이용 (선택)

  • 모든 과정을 대행해주는 장례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3. 사망신고

  • 가족 또는 대리인이 관할 **동사무소(주민센터)**에 사망진단서 원본과 신분증 지참하여 신고.
  • 사망신고는 사망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해야 하며,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에 반영됩니다.

4. 유해 처리 및 묘지/납골당 결정

  • 화장: 지역 화장장 예약 필수. 장례식장에서 대행 가능.
  • 매장: 사설 또는 공공 묘지에 매장.
  • 납골당: 봉안당(사설/공공)에 유골 안치.

5. 상속 및 금융 등 사후 행정 처리

① 금융기관 통지

  • 사망 후 은행, 보험사 등에 사망 사실을 통보하여 계좌 동결.

② 상속재산 파악

  • 고인의 부동산, 금융자산, 부채 등을 파악.
  • 필요시 상속포기/한정승인을 가정법원에 신청 (사망일로부터 3개월 이내).

③ 세무 신고

  • 상속세는 일정 기준 이상 자산일 경우 부과됩니다.
  •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상속세 신고 및 납부 필요.

6. 각종 해지 및 명의 변경

  • 휴대폰, 인터넷, 유료 서비스 해지
  • 고인의 자동차 명의 이전/말소
  • 국민연금/건강보험 자격 정리
  • 부동산 등기 이전

도움이 될 수 있는 기관/연락처

  • 119: 응급의료 이송
  • 112: 변사 의심 시 경찰 신고
  • 장례식장: 병원이나 민간 운영
  • 동사무소: 사망신고 및 행정 업무
  • 가정법원: 상속 관련 신청
  • 국세청 홈택스: 상속세 관련

필요하시면, 장례 절차 체크리스트나 각종 신고서류 목록도 정리해 드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