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만 19~39세의 **무주택 청년(대학생 또는 취업준비생 포함)**을 대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지방공사(SH 등)가 매입한 원룸·다가구 주택 등을 저렴한 보증금·월세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자격 요건

  1. 연령 및 신분
    • 만 19~39세 청년 또는 대학생·취업준비생(졸업·중퇴 2년 이내 공백기) 
  2. 무주택 조건
    • 본인과 세대 구성원이 공고일 기준으로 무주택이어야 함 
  3. 소득·자산 기준
    • 우선 공급(1순위):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차상위, 한부모가정 등
    • 2순위: 본인+부모 소득이 도시근로자 중위소득 100% 이하 + 국민임대 자산 기준(총자산 ≤ 33.7억 원, 자동차 ≤ 3,803만 원)
    • 3순위: 본인 소득 ≤ 도시근로자 100% + 행복주택 자산 기준 충족 

임대료·보증금

  • 1순위: 보증금 약 100만 원, 월세는 시세 대비 평균 40% 수준 
  • 2·3순위: 보증금 200만 원, 월세 약 50% 수준 

신청 절차

  1. 공고 확인
    • 연간 또는 분기별(3·6·9·12월) LH 혹은 SH 홈페이지에서 매입임대 모집 공고를 확인 온라인 신청
    • LH청약센터 또는 해당 공사 사이트에 회원가입 및 로그인
    • 지구 및 주택형, 우선/일반공급 선택
    • 본인 정보 입력 후 청약 신청 완료
  2. 서류 제출
    • 서류제출 대상자 발표 후 지정 기간 내에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증명서,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부모 소득·자산 증빙 등 제출심사 및 면접
    • 서류 심사 후, 필요 시 면접 진행 (주거필요성, 거주계획 등 질의) 
  3. 당첨 발표
    • 청약 결과는 사이트에서 확인하며, SMS 또는 이메일 통보 .
  4. 계약 및 입주
    • 지정 날짜에 계약 체결 후, 보증금 납부 → 입주 준비 및 이사 

 주의사항

  • 서류 누락·기한 미준수 시 탈락
    • 공고문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청약 연습하기 기능 이용 
  • 소득·자산 기준 매년 갱신
    • 공고문에 기재된 연·월 기준 확인 필수
  • 재계약 조건 유지 필요
    • 대부분 2년 단위, 요건 충족 시 최대 6년(추가 재계약 가능) 거주 가능 

전체 요약표

단계설명
1. 자격 확인 연령(19~39), 무주택, 소득·자산 충족
2. 공고 주기 LH/SH 홈페이지 분기별 상시 확인
3. 온라인 청약 회원가입 → 정보 입력 후 신청
4. 서류 제출 신분+소득+자산 관련 서류 준비
5. 심사 및 면접 자격 확인 및 필요 시 면접
6. 계약 및 입주 계약 후 보증금 납부 → 이사
다음 단계 추천
  1. LH청약센터(혹은 SH 웹사이트)에 회원가입 및 ‘청약 연습하기’ 기능으로 미리 연습
  2. 공고 알림 설정: 분기별 청약시기(3·6·9·12월) 공고 미리 확인
  3. 서류 미리 발급: 주민등록등본·가족관계증명서, 소득·자산 관련 서류 사전 준비
  4. 조건에 따라 우선순위 확인: 본인이 1·2·3순위 중 어느 대상인지 명확히 파악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할 수 있을까?
혼자 살고 있는 청년이라면 지금 확인해보세요!
✅ 만 19~39세 대한민국 국적의 청년
✅ 무주택자 + 혼자 거주 중
✅ 월 소득 약 153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 기존 청년 매입임대 거주 여부 확인
📌 YES가 3개 이상이라면?
👉 지원 대상 가능성 높아요!
1분이면 끝나는 간단 체크로 바로 확인해보세요

더 궁금한 부분이나 특정 지역/LH vs SH 차이, 신청 시기 알림 받는 방법 등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