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인두암(鼻咽頭癌, Nasopharyngeal Carcinoma, NPC)은 코의 뒤쪽, 목의 윗부분에 해당하는 비인두(nasopharynx) 부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암) 입니다.
다른 두경부암(구강암, 후두암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행이 빠른 암 중 하나입니다.

🔹 발생 부위

비인두는 다음 위치에 있습니다:

  • 코 뒤쪽 (콧구멍의 끝부분 뒤)
  • 입천장 위쪽, 목의 가장 윗부분
  • 귀와 연결된 이관(Eustachian tube) 입구 근처

🔹 주요 원인

  1. Epstein-Barr 바이러스(EBV) 감염
    • 비인두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 EBV는 흔한 바이러스지만, 일부에서 암세포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2.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비인두암 환자가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3. 식습관
    • 절인 생선, 염장식품, 질산염 함유 음식의 잦은 섭취.
  4. 흡연 및 음주
  5. 환경적 요인
    • 먼지, 화학물질, 나무·금속 가루 노출 등.

🔹 주요 증상

비인두 부위가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초기엔 감기나 중이염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구분대표 증상
코 증상 코막힘, 코피, 콧물에 피가 섞임
귀 증상 한쪽 귀 먹먹함, 청력 저하, 이명 (귀울림)
목/머리 증상 목에 멍울(림프절 전이), 두통, 안면 통증
신경 증상 복시(두 개로 보임), 얼굴 감각 이상, 안면 마비 등 (뇌신경 침범 시)

🔹 진단 방법

  1. 비인두 내시경 검사
    • 코를 통해 비인두 부위를 직접 관찰합니다.
  2. 조직 생검(Biopsy)
    • 의심 부위에서 조직을 떼어 현미경으로 확인합니다.
  3. 영상 검사
    • MRI, CT, PET-CT 등을 통해 암의 범위 및 전이 여부 평가.
  4. 혈액 검사
    • EBV DNA 검사로 재발이나 치료 반응을 추적하기도 합니다.

🔹 치료 방법

단계주요 치료
초기(1~2기) 방사선 치료 단독
진행(3~4기) 항암화학요법 + 방사선 병합치료
전이성 항암치료, 면역치료, 표적치료 등

비인두암은 방사선 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하지만, 재발이나 전이가 흔할 수 있어 정기 추적이 중요합니다.

🔹 예후(생존율)

  • 조기 발견 시 5년 생존율:  80~90%
  • 진행 단계에서 발견 시:  50% 이하

🔹 예방 및 관리

  • 절인 음식(특히 염장 생선) 섭취 줄이기
  • 금연, 절주
  • EBV 감염 관리
  • 귀·코·목 이상 증상이 지속될 경우 이비인후과 진료

단계별 치료 과정 요약표

아래는 비인두암 단계별 치료 과정 요약표입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 NCCN 가이드라인, 국립암센터 기준 참고)

🩺 비인두암 단계별 치료 요약표

병기(Stage)병기 설명주요 치료 방법치료 목표 / 특징
Ⅰ기 (초기암) 종양이 비인두 내에만 국한, 림프절 전이 없음 🔹 방사선치료 단독 (IMRT 등) - 완치 가능성 매우 높음
- 미세 잔존세포 제거 목적
Ⅱ기 (국소 진행암) 주변 조직 침범 또는 경부 림프절(한쪽) 전이 🔹 방사선치료 + 동시 항암치료(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 항암제가 방사선 감수성 높임
- 국소 재발 방지
Ⅲ기 (진행암) 림프절 다발성 전이 또는 종양 크기 증가 🔹 항암화학요법 + 방사선 병합치료
(CCRT)
- 주요 치료는 병합요법
- 일부는 치료 전 유도항암(Induction Chemo) 병행
ⅣA~ⅣB기 (국소 진행/광범위 침범) 두개저, 뇌신경, 큰 림프절 침범 등 🔹 유도항암(Induction) → CCRT 순서
또는
🔹 방사선 + 항암 병합치료 강화
- 국소 조절 및 전이 억제 목표
- 치료 부작용 관리 중요
ⅣC기 (원격전이) 폐, 간, 뼈 등 원격 전이 존재 🔹 항암화학요법
🔹 면역항암제 (PD-1 억제제 등)
🔹 표적치료 (임상시험 포함)
- 완치보다는 생존 연장·증상 완화 목적
- 일부는 국소 방사선 병행 가능
재발 / 잔존암 치료 후 재발 혹은 불완전 제거 🔹 재방사선치료 (선택적)
🔹 수술 가능 시 절제
🔹 항암·면역 병용요법
- 위치·범위 따라 맞춤 접근
- EBV DNA 수치 모니터링 중요

⚕️ 추가 관리 단계

구분내용
치료 후 1~2년 3개월 간격으로 내시경, 영상검사, EBV DNA 검사
3~5년차 6개월 간격 추적
5년 이후 매년 1회 이상 검사 및 재발 감시
부작용 관리 구강건조, 청력 저하, 갑상선 기능저하, 치아 손상, 피부변화 등 정기 점검 필요
치료 후 관리법 (식습관·생활요령)

비인두암 치료 후에는 방사선치료나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완화하고, 재발을 예방하며 면역력을 회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는 식습관·생활요령 중심의 관리 가이드입니다.

1️⃣ 식습관 관리

추천 음식

구분내용
연하고 부드러운 음식 죽, 미음, 수프, 삶은 채소, 두부, 계란찜 등 – 방사선 후 구강 점막 자극 최소화
단백질 보충 살코기, 생선, 두부, 콩류, 우유·요거트 등으로 세포 회복 촉진
수분 충분히 섭취 하루 1.5~2L 물 또는 미지근한 차 – 구강건조 완화
항산화 식품 브로콜리, 시금치, 당근, 블루베리, 토마토 등 비타민 A·C·E 풍부한 음식
부드럽고 순한 간 짜지 않게 조리, 자극적인 양념(고추, 마늘, 카레 등) 피하기

피해야 할 음식

구분이유
매운·뜨거운 음식 구강 점막 자극, 통증 유발
짠 음식, 절인 생선·젓갈류 나트륨 과다, 비인두 점막 자극
탄 음식, 훈제식품 발암물질(N-nitroso 등) 노출
술, 카페인, 탄산음료 탈수, 점막 손상 악화

2️⃣ 생활 관리 요령

구분실천 방법
구강 위생 관리 부드러운 칫솔 사용, 자극 없는 구강 세정제 (염분·알코올 無), 식후 미온수로 헹구기
건조 예방 가습기 사용, 무가당 껌이나 물 자주 마시기
규칙적인 운동 가벼운 걷기·요가로 면역력 유지 (무리한 운동은 피함)
피로 관리 충분한 수면(7~8시간), 스트레스 조절
정기 검진 3개월~6개월마다 내시경 및 영상검사로 재발 감시
금연·절주 재발률과 다른 두경부암 위험을 크게 낮춤

 3️⃣ 치료 부작용 관리 팁

부작용관리법
구강건조 무가당 껌, 인공침 사용, 물 자주 섭취
미각 변화 온도·식감 다양화, 새콤한 과일(레몬·귤 등) 활용
피로감 식사량 조절, 철분·단백질 섭취 강화
갑상선 기능 저하(방사선 후) 정기 혈액검사, 필요 시 갑상선호르몬 보충

4️⃣ 정기 추적검사 일정 예시

치료 후 기간검진 간격주요 검사
1~2년차 3개월마다 내시경, EBV DNA, MRI/CT
3~5년차 6개월마다 내시경, 영상검사
5년 이후 1년마다 전신 체크, 혈액검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