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봉 8,000만 원(=80,000,000원) 기준으로 2025년 기준 세금 및 실수령액 계산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1. 기본 전제

  • 근로소득자(직장인) 기준
  • 미혼 / 부양가족 1명(본인만)
  •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공제 포함
  • 지방소득세 포함

 2. 세금 구성 요소

연봉에서 빠지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설명
국민연금 소득의 4.5%
건강보험 소득의 약 3.545% (장기요양보험 포함 시 약 3.8%)
고용보험 소득의 0.9%
소득세 + 지방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 적용

3. 계산 예시

① 총급여: 80,000,000원
② 근로소득공제: 약 13,500,000원
➡️ 과세표준: 약 66,500,000원

 소득세 계산 (2025년 기준 누진세율)

과세표준 구간세율산출세액
1,200만 원 이하 6% 72만 원
1,200만 초과 ~ 4,600만 원 15% 510만 원
4,600만 초과 ~ 8,800만 원 24% 나머지 구간 적용

👉 대략 소득세 약 7,260,000원 + 지방소득세(10%) 약 726,000원 = 총 7,986,000원

 4대 보험 공제

항목금액(연간)
국민연금 약 3,600,000원
건강보험(장기요양 포함) 약 3,000,000원
고용보험 약 720,000원
합계 약 7,320,000원

 4. 실수령액(연봉 8천만 원 기준)

항목금액
총 연봉 80,000,000원
세금 및 4대 보험 합계 약 15,300,000원
 실수령액(연간) 약 64,700,000원
 실수령액(월평균) 약 5,390,000원

 5. 참고 팁

  • 부양가족이 많거나, 신용카드·보험료 공제 등 연말정산 시 추가 공제가 있으면 실수령액은 더 늘어납니다.
  • 반대로 상여금이나 비과세 제외 소득이 많으면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원하신다면 🧮 엑셀처럼 세부 항목별 공제 계산표도 만들어드릴 수 있어요.
→ “월급 8천 기준 세부 계산표 만들어줘”라고 하시면 바로 드리겠습니다.

연봉 8,000만 원(근로소득자·1인 가구 기준)**의 **세부 공제 계산표(엑셀 스타일)**입니다.

2025년 기준 세율을 반영한 대략적인 예시입니다.

연봉 8,000만 원 세금 및 공제 내역표 (엑셀 형식)

구분계산식금액(원)비고
① 총 연봉 - 80,000,000 연간 총 급여
② 근로소득공제 세법 기준 13,500,000 근로소득자 기본 공제
③ 과세표준 ① - ② 66,500,000 세금 계산 기준 금액
④ 소득세 누진세율 적용 7,260,000  
⑤ 지방소득세 ④ × 10% 726,000  
⑥ 국민연금 80,000,000 × 4.5% 3,600,000 근로자 부담분
⑦ 건강보험 80,000,000 × 3.545% 2,836,000 기본요율
⑧ 장기요양보험 ⑦ × 12.95% 367,000 건강보험 부가 항목
⑨ 고용보험 80,000,000 × 0.9% 720,000 근로자 부담분
⑩ 총 공제액 ④ + ⑤ + ⑥ + ⑦ + ⑧ + ⑨ 15,509,000  
✅ 실수령액(연간) ① - ⑩ 64,491,000  
✅ 실수령액(월평균) ÷ 12개월 약 5,374,000 월급 실수령액

 요약

  • 세전 월급: 약 6,670,000원
  • 월 실수령액:  5,370,000원
  • 총 공제 비율:  19.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