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상 혈압 범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수축기 혈압 (최고혈압)이완기 혈압 (최저혈압)
정상 혈압 | 120mmHg 미만 | 80mmHg 미만 |
주의 혈압 (전고혈압) | 120~129mmHg | 80mmHg 미만 |
고혈압 1단계 | 130~139mmHg | 80~89mmHg |
고혈압 2단계 | 140mmHg 이상 | 90mmHg 이상 |
위험(고혈압 위기) | 180mmHg 이상 | 120mmHg 이상 |
✅ 요약:
- 정상 혈압: 120/80mmHg 미만
- **혈압은 측정 시점·상황(스트레스, 운동, 카페인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가정 혈압은 병원보다 약간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하신다면 연령대별 정상 혈압 기준표나 **혈압 관리 방법(식습관·운동법 등)**도 함께 정리해드릴까요?
다음은 연령대별 정상 혈압 기준표입니다 👇
(단위: mmHg, 성인 기준 / 대한고혈압학회·WHO 기준 참고)
연령대정상 수축기 혈압 (최고혈압)정상 이완기 혈압 (최저혈압)비고
10대 (13~19세) | 110~120 | 70~80 | 성장기에 따라 개인차 큼 |
20대 | 110~125 | 70~80 | 혈압이 가장 안정적인 시기 |
30대 | 115~130 | 75~85 | 스트레스·비만 등 영향 시작 |
40대 | 120~135 | 80~85 | 생활습관 관리 중요 |
50대 | 125~140 | 80~90 | 고혈압 전단계 주의 |
60대 이상 | 130~145 | 80~90 | 혈관 탄력 저하로 상승 경향 |
70대 이상 | 135~150 | 80~90 | 무리한 저혈압 조절은 피해야 함 |
✅ 참고 요약
- 정상 혈압의 기준은 연령에 따라 약간 높아질 수 있지만,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65세 이상 노인은 150/90mmHg 미만으로 유지해도 괜찮다고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 꾸준한 혈압 기록과 **생활 습관 관리(저염식·운동·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원하신다면 💡 연령대별 혈압 관리 팁(식습관·운동·생활습관) 도 표로 정리해드릴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