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다른 나라에도 이런 미신이 존재할까요

 

 

궁금하신 분들은 이제부터 주목해주세요

나라별 미신

미국-13일의 금요일

13일의 금요일, 많이 들어보셨죠

영화와 게임의 소재로도 많이 쓰여 유명한 미신인데요,

미국에서는 13일의 금요일에는 불행한일이 일어난다고 믿는답니다

우리 나라에서 숫자 4를 불길하게 여기는 것처럼

미국과 유럽 쪽에서는 숫자 13을 굉장히 안좋은 숫자로 여겨요.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날이 13일의 금요일 이기도 하고,

예수가 제자들과 죽기 전 함께 한 만찬에 13명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네요.

아이러니 하게도 이탈리아는 숫자 13을 행운의 숫자로 여긴다고 하니,

나라마다 대우가 달라지는 숫자군요

일본-아침엔 복, 밤에는 불행

일본에서는 아침에 찾아오는 거미도 복을 가져다 준고 믿어

죽이면 복이 달아난다고 믿는답니다.

반대로 밤에 찾아오는 거미는 손님이 아니아 적이니 죽인다는 말도 있구요.

일본의 아랫지방에서는 밤에 거미를 죽이면 사람이 죽는 것과 같고

밤에 거미를 죽이면 영혼을 죽이는 것과 같다고 여겼다고 해요.

오래 전 일본은 더운 날씨에 위생이 좋지 못했기 때문에 해충이 득실거렸다고 하는데 거미는 이러한 해충들을 잡아먹어 주는 고마운 존재이기 때문에

이러한 미신을 만들어 거미와 공생했던 것이 아닐까 싶네요

인도-1루피의 비밀

인도에서는 축의금 등 돈을 전해줄 일이 있을 때 꼭 돈의 끝자리가 1로 끝나게 끔 맞춘다고 해요

인도에서는 짝수, 특히 0으로 끝나는 숫자는 완전체 이며,

시작이 아닌 끝을 의미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100, 500등 끝자리가 0이 들어가지 않게

101루피, 501루피.. 이렇게 1루피를 더해 홀수로 만들어 행운을 기원한다고 합니다.

정말 흥미롭죠?

프랑스- 뒤집힌 바게트

바게트 빵을 주식으로 먹는 프랑스에서는 빵을 뒤집어 두면 불행이 찾아온다고 생각해요

이는 오래 전 프랑스의 중세시대에서 유래되었는데

그때 당시 사형수에게 뒤집어진 빵을 주었다고 합니다.

역사에서 유래된 미신이군요

앞모습이 더 예쁜 바게트 뒤집어두지 마시고 한입에 먹어버리자구요

아일랜드- 떨어진 음식

유럽 북서쪽에 위치한 나라죠! 아름다운 섬나라 아일랜드에서는

다같이 식사를 하다가 음식이나 마실 것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그것을 절대 주어먹지 않는다고 해요

바닥에 떨어진 음식은 요정들에게 주는 선물이라는 미신 때문인데요,

때문에 식사중 음식을 바닥에 흘려도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네요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요정은 팅커벨처럼 살랑거리는 모습인데,

아일랜드 전래동화 등에서 말하는 요정은, 초록 모자와 풍성한 수염을 기른 난쟁이에 가깝더라구요

백설공주에 나오는 일곱난쟁이의 모습과 비슷하겠죠

러시아-왼쪽과 오른쪽

춥고 혹독한 겨울을 품고 있는 러시아

이러한 자연환경 때문인지 미신이 참 많은 나라이기도 해요.

러시아에서는 유독 왼쪽과 오른쪽의 미신이 다른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요.

오른 손이 가려우면 돈이 들어오는 징조이고,

왼손이 가려우면 반대로 돈이 나가는 징조라고 해요.

또 오른쪽 귀가 가려우면 진실을 말하는 것이지만,

왼쪽 귀가 가렵다면 그 말은 거짓이라고 하네요

주로 오른쪽을 기쁨과 행운의 상징으로 여기고 왼쪽을 거짓과 불행의 의미로 해석한답니다.

스페인-자정에 먹는 포도

열정의 나라 스페인! 이곳에는 매 신년마다 챙기는 미신이 있다고 해요.

우리나라는 11일이 되는 순간 제야의 종을 울려 새해를 맞이하죠?

스페인에서는 1231일 자정, 새해가 오기 전에 112달을 의미하는 포도알 12개를 먹고 한해의 소원을 빈다고 합니다

열 두알의 포도는 그 해의 열 두달도 무탈하게 넘기기 위한 이 담겨있어요

더욱이 나쁜 기운을 쫓고 좋은 것을 불러오기 위한 미신이라니, 참 색다르네요

지금까지 나라별 미신! 각국의 미신을 살펴보았어요~

예로부터 까마귀는 흉조라고 여겨왔지만

어느 곳에서는 길조로 받들어지고는 했죠

같은 것이라도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는 사실이

정말 흥미롭고 신기하네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