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돈 아끼는거 아니였어

부자들만 아는 밥값 안 내는 사람이 가난한 이유

 

 

밥값을 잘 내는 사람과 뒤로 빠지는 사람 중에 누가 더 성공할까요?

밥값을 안내니 그 돈 모아서 부자가 되는 걸까요?

밥값 안내는 사람이 가난한 이유는 경제학과 관련 있습니다.

오늘은 밥값 안내는 사람이 가난한 이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밥값 계산 이야기

철수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철수는 남이 밥값 내는 꼴을 보지 못하는 성격입니다. 

10번 밥을 먹으면 10번을 자기가 내는 사람입니다. 

철수 지인들, 동네 사람들도 그에게 밥을 안 얻어먹은 이가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얻어먹는 것이 개면 쩍어서 그런지 항상 밥값을 내다 보면 주위 사람들이 그러려니 하고,

다음부터는 아예 낼 생각을 안 하고 이걸 교묘히 이용해 비싼 것을 시켜 먹는 사람도 간혹 생겨납니다. 

이러니 철수의 부인과 가족의 속이 타들어갔습니다.

반면에 매번 밥값을 안 내거나 밥값 낼 만한 사람을 찾아 잘 먹겠다고 넙죽거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밥값을 잘 내는 사람은 자기가 밥값을 잘 내는 줄 아는데, 

밥값을 안 내는 사람들은 자기가 밥값을 안 내는 사람으로 찍힌 사실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돈을 아끼는데 가난한 이유

그 이유도 꽤 다양합니다. 

자기가 샀을 때만 기억하는 선별 기억형, 

식사 자리를 유쾌하게 만들었다는 이유로 밥값을 대신하려는 등 스스로는 나름대로 의무를 다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자신들은 인색한 것이 아니라 검소한 거라며 그럴 듯하게 포장을 하는데요.

자기가 살 것도 아니면서 소고기 먹자는 사람, 상대가 돈을 더 버니 당연히 내라는 사람,

아랫사람이니 당연히 얻어먹는다는 사람들은 모두 남의 아량에 악용하는 인색한 사람일 뿐입니다. 

남의 선의에 기대어 자신은 검소하다고 자랑하는 것은 철면피나 할 만한 행동입니다. 

밥값을 안 내는 사람들은 결국에는 기존의 친구들이 모두 사라지고, 선배들은 뒤를 봐주지 않으며 후배들에겐 무시당하게 됩니다.

이렇게 밥값을 내지 않고 모은 돈들은 그 성향의 근본인 인색함에 기인하기 때문에 절대 성공에 필요한 자금으로 활용되지 못하게 됩니다. 

어느 누구도 인색한 사람과 인간관계를 맺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중에는 형제나 부모는 물론 배우자도 멀리 하게 되는데요,

결국 밥값을 내지 않는 것은 경제적으로 손실입니다. 

최소 따라야 하는 규칙

이를 무시하면 진급, 사업, 기회, 선의의 혜택에서 완벽히 배제됩니다.

재정적으로 아무리 곤공하다 하더라도 남의 밥값을 공짜 음식으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최소한 다음 규칙을 따르라고 권고하고 싶습니다. 

1. 연장자나 돈을 많이 버는 친구가 두 번 사면 나도 한 번은 산다.

2. 평범한 동료가 한 번 사면 나도 한 번 사겠다.

 이런 아주 간단한 규칙이니 모두 실천하세요.

아무리 밥값을 잘 내는 철수도 누가 밥값을 안 내는 사람인지 겉으로 말을 안 해서 그렇지 다 기억하고 있습니다.

인색한 사람으로 찍혀 있다면 일이 생겼을 때 도움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작은 일로 사람을 평가합니다. 

아무리 많은 장점이 있는 사람도 밥값을 안 내려고 애쓰는 태도를 자주 보여준다면 그 사람의 모든 장점은 쉽게 덮히고 맙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얻어내려면 무엇인가를 주어야 합니다.

이성에게 사랑을 얻으려면 헌신을 주어야 하고, 친구에게서 우정을 얻으려면 신의를 주어야 합니다. 

세상에서 인기를 얻으려면 재능을 보여야 하고, 사업에서 성공을 이루려면 신용을 주어야 합니다. 

무엇인가를 얻으려 한다면 내가 가진 것 중에 무엇이든 그 가치를 대신할 것을 내놓아야 합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공짜는 가장 비싼 것을 가져가기 위한 숨겨진 대가일 뿐입니다.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아무것도 포기하지 않고 얻으려 한다면 결코 손에 넣을 수 없을 뿐더러, 

공짜로 얻은 것은 결국 사채 이자처럼 혹독한 대가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성실해야 하고, 신용을 갖춰야 합니다.

쉬운 길에는 사람이 많고, 지름길은 막다른 길로 변합니다. 

부정하거나 얄팍하게 살아서 생긴 이익은 이익이 아니라 빚진 이유입니다.

빚은 언젠가 갚아야 하고, 본인이 갚지 않으면 자식이라도 갚으라고 요구하는 것이 인생입니다. 

공짜 밥을 얻어 먹는 것은 쉽고 편하고 얄팍한 길을 가는 것입니다. 

매사에 작은 것에 집착하고, 작은 것을 얻으려고 애쓰다가 늘 큰 것을 잃게 되는 사람들입니다.

반면에 부자들은 사소한 것을 포기하고 큰 것을 얻어내는 삶을 삽니다. 

부자들은 신용과 협력을 위해 기꺼이 밥값을 계산하고 시간을 쓰고 잠깐의 언짢음을 감수합니다. 

따라서 밥값을 내는 것이 결국 버는 것이고 성공으로 가는 길입니다. 

오늘은 밥값 안내는 사람이 가난한 이유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참고하셔서 아무 생각 없이 밥을 얻어 먹는 것에 익숙해졌다면 당장 실천하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